A. <대형 3D프린터 <와우봇> 기본 세팅매뉴얼>
목동역 7번출구 신정4동 1011-11 2층 이지사이트 지 이사 02-2266-8258
0. PC와 프린터를 연결하는 USB를 빼고, 전원을 꼽는다. 그리고 전원을 켜면 집모양의 검은 박스안에 불이 켜진다. 그러면 USB를 꼽는다. <--OK
[ 1. http://matrix.skku.ac.kr/pub/CH341SER.zip 에서 제공된 프로그램들을 다운 받아 압축풀고 <CH341SER.EXE>을 설치한다.
2. Install을 클릭하여, 드라이버를 설치한다.
3. 제공된 프로그램<arduino-1.0.5-r2-windows.exe>을 설치한다. ]
4. 아두이노(Arduino)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 <--OK
5. 도구에서 보드를 선택하여, Aduino Mega 2560 or Mega ADK
6. 도구에서 6번째 줄 ‘시리얼 포트’에서 아두이노가 연결되어있는 시리얼포트를 지정해 준다. (장치관리자-하단-포트에서 (COM4)를 확인할 수 있었다.
<--OK
<이제 펌웨어를 수정하여 업로드가 가능합니다. >
우리가 사용하는 펌웨어 Marlin인제, 이 폴더안의 Configuration.h 파일 이 하드웨어 (3D프린터 본체)의 모든 정보를 담고있는 중요한 파일입니다.
7. 스케치 프로그램 파일 - 열기에서 Marlin- Marlin_v1 폴더내의 Marlin 폴더에 Configuration.h 파일을 선택하여 엽니다. <--OK
8. 열린 Configuration 중에 다른 곳은 손대지 말고 중간의 Configuration.h 탭을 클릭하면 아래 화면이 나온다. <--OK
9. 이 파일 안의 AUTO_BED를 검색(Find)한다.
10. 그 바로 아래 있는 명령어들이 Z축센서(오토레벨링 센서)가 센싱하는 4곳의 위치를 지정하는 곳인데, 각각 25, 320, 240, 25 로 설정한다.
#ifdef ENABLE_AUTO_BED_LEVELING
// these are the positions on the bed to do the probing
#define LEFT_PROBE_BED_POSITION 25
#define RIGHT_PROBE_BED_POSITION 320
#define BACK_PROBE_BED_POSITION 240
#define FRONT_PROBE_BED_POSITION 25
11. 그 아래 #define Z_PROBE_OFFSET_FROM_EXTRUDER -6.0에서 6.0은 노즐과 오토레벨링 센서와의 물리적인 거리에 0.3mm 정도의 원료가 녹아나올 공간을 미리 준 것이다. (출력시 노즐이 바닥에서 많이 떠서 제대로 출력이 안되면 6.2 과 같이 숫자를 조금 키우면 노즐이 바닥쪽으로 0.2mm 먼저 내려가서 노즐과 바닥(베드) 사이가 더 좁아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갑이 너무 커지면 노즐이 바닥과 충돌하여 파손된다.) <--- 내 PC에서는 -11 정도에서 된 듯하다!! <--OK (시행 착오를 요구하는 이 부분이 사용자가 와우봇의 가장 약점인 듯 하다!!)
12. http://matrix.skku.ac.kr/pub/3D-Printer-Manual.pdf 에 매뉴얼있음.
<--OK (시행 착오를 요구하는 이 부분이 사용자가 와우봇의 두 번째 약점인 듯 하다!!)
13. 프로그램 화면의 좌측 2번째 편집 바로 아래의 업로드아이콘(=>)을 클릭하고, 업로드가 완성될 때까지 (오른 쪽 아래 진행 표시) 기다린다.
B: (와우봇용 G- Code 만드는 프로그램 설치 및 설정)
<--- (특정한 소프트웨어만 이용하는 이 부분도 사용자가 와우봇의 세번째 약점인 듯 하다!!)
14. 제공된 프로그램<Cura_13.10.exe>을 설치한다.
15. Cura에 Wowbot을 셋팅한다.
16. 이때, 위의 그림의 마지막, “Custom Reprap information”에서 값을 아래의 순서대로 설정한다.
(wowbot / 400 / 300 / 385 / 0.7 / check / non-check )
17. Cura를 실행하고 메인화면에서 Basic setting은 아래와 같이 수정한다.
Quality : 0.25 / 1 / check
Fill : 1 / 20
speed and temperature : 50 / 185.5 / 60
support : everywhere / raft
filament : 1.75 / 100
18. Advanced setting은 아래와 같이 수정한다.
19. Advanced setting은 아래와 같이 수정한다.
20. 마지막으로, start/end-Gcode 탭에서 start.gcode를 아래와 같이 수정한다. (오토레벨링_스타트지코드.txt 참고)
;Basic settings: Layer height: {layer_height} Walls: {wall_thickness} Fill: {fill_density} ;Print time: {print_time} ;Filament used: {filament_amount}m {filament_weight}g ;Filament cost: {filament_cost} G21 ;metric values G90 ;absolute positioning M107 ;start with the fan off G28 X0 Y0 ;move X/Y to min endstops G1 Z25 G1 X451 F6000 G1 X330 F4000 G1 X451 F4000 G29 ;move Z to min endstops G1 X100 Z30.0 F{travel_speed} ;move the platform down 15mm G1 X1 G92 E0 ;zero the extruded length G1 F200 E3 ;extrude 3mm of feed stock G92 E0 ;zero the extruded length again G1 F{travel_speed} M117 Printing... |
C: 프린트용 프로그램인 <pronterface.exe>을 실행한다.
21. Printrun setting > option에서 아래와 같이 설정(build dimensions)을 확인한다. W 400, D 300, H 385 (프린터기의 최대 사이즈를 이렇게 설정한 것)
<--- 이런 것은 미리 셋팅이 되어야 하는 것인데 사용자에게 요구하는 것은 와우봇의 네번째 약점인 듯 하다!!
이제 (A) 기본 설정과 (B) 프린트 할 G-code를 생성할 수 있는 설정 및 (C) 프린트용 프로그램의 설정까지 모두 마쳤다.
Ready to use!! Congratulations!
<대형 3D프린터 <와우봇> 실제 프린팅 매뉴얼>
A, B, C 단계 확인 : (관리자에게) 기본 설정의 모두 정상적임을 확인한 후 (파손시 최종 사용자가 파손액 최대 250만원을 책임짐)
문의 필수: 031-290-7025 및 010-7425-7025
D: 이제 실제 3D 물체를 프린트 하자! (연장을 준비)
0. 다운 받아서 개선한 .STL 파일을 Cura를 이용하여 와우봇 프린터 전용 G-code 파일 <머리와 꼬리가 붙은 G-파일>로 변환한다.) <-- 별도 설명
와우봇 프린터 전용 G-파일(슬라이싱이 되어 있는 경우)의 프린트 과정
1. http://matrix.skku.ac.kr/pub/CH341SER.zip 에서 제공된 프로그램 중pronterface.exe (프린트런) 을 실행한다. <---OK
2. 프린터의 전원을 켜고(전원을 켜면 집모양의 검은 박스안에 불이 켜진다.) , USB을 연결한다. <---OK
3. 프린트런에서 (우리 경우 COM4@250000 을 확인 후) 컨넥트를 클릭 한다.
4. 프린트런에서 와우봇 프린터 전용 G-파일을 불러온다. <---OK
5. 노즐온도(Heat) 185도. 베드(Bed) 40~55도 정도 셋팅하고 set을 클릭한다. <---OK
(프린터 앞면의 온도를 확인하거나 프로그램의 <Check Temp>를 클릭하여 확인후에 다음 단계로 넘어간다.)
6. 프로그램 화면 중간의 (↑+Z) 바로아래의 ⓾을 천천히 세번 클릭한다. (즉, 노즐을 보호하기 위하여 Z축을 충분하게 30mm 정도 올린다는 의미이다.). <---OK
7. 육각나사를 이용하여 재료 삽입구 나사를 느슨하게 한 후, 커터로 대각선 모양으로 날까롭게 끝을 자른 필라멘트 실을 노즐 관에 삽입하고, 잘 녹아 나오는지 확인 한 후, 다시 나사를 조인다. 그리고 핀셋으로 누출된 필라멘트 줄을 제거한다. <---OK
8. (실수하기 쉬운 부분 : 중요) 프린트런 화면의 왼쪽 아래에 있는 (XYZ전체) 홈버튼을 누름 동시에 노즐의 움직임을 보다 (스프레이를 조금 뿌리고) 노즐이 중앙에 도착할 때 쯤에, 꼭 검은색 플라스틱 레버를 밀어서 우측으로 보낸다. (그러면 오토레벨링 컨트롤러 <검은색 노즐보호대>가 아래로 향하면서 노즐을 보호하게 된다. 미리 누르면 다시 제자리가 되어 위험하다.) <---OK
주의: 이때 노즐이 바닥에 닿거나 소리가 나면, 바로 전원 꺼야만 노즐이 안 부서진다.
<--- 이 부분이 사용자의 불안을 주므로 와우봇의 가장 큰 약점으로 보인다!!
9. 센서가 바닥에 닿은 후 (Z축) +Z의 10을 한번 클릭한다. <---OK
10. 프린트런에서 온도가 지정한 (185/60) 적정 온도인지 다시 한번 확인한다. <---OK
11. 프린트런에서 "PRINT" 버튼을 누른다. <---OK
12. 헤어스프레이를 종이로 노즐 부분을 가리고 뿌려서 , 바닥 중간 부분에 얇게 막을 만든다.
13. 오토레벨링 중에 레버가 잘 내려왔는지 눈으로 확인한다. <---OK
14. 오토레벨링 4점을 찍은 후 노즐 끝의 실-똥을 핀셋으로 다시 한번 떼어 준다. <---OK
주의: 이 때 높이가 잘 안 맞는 경우는, Pause를 누른 후 처음 설정으로 돌아가 Configuration.h 파일에서 노즐 높이(노즐높이 11이 현재 우리 설정임 - 이때에 명함 두장 정도의 틈만 있었음!!) 를 좀 더 올려주고, 그 화면에서 upload를 클릭 후. 전체 프린트 과정을 처음부터 다시 시작한다.
15. 전면 좌측 상단의 LCD의 우측 다이얼을 시계방향으로 돌려 (디스플레이의 왼쪽 3번째 줄의 숫자가) 70% 정도가 되도록 속도로 낮추어 준다. <---OK
16. 프린팅이 시작되면 우선 바닥지지대(라프트)가 다 깔린 때까지 기다렸다, 본 물체의 프린팅이 시작되면, (밑이 튼튼하게 정상적으로 인쇄가 되고 있으면, 윗 부분 인쇄 속도를 좀 더 빠르게 하기위해) LCD에서 우측 다이얼을 반시계방향으로 돌려 빠르게 약 100% 속도로 맞추어 준다. <---OK
17. 프린트가 일정시간 (바닥의 raft가 만들어졌을 때 또는 온도가 계속 올라갈 경우 80도 정도에서) 후에 프린터 bed의 온도를 off로 해준다. (bed의 온도가 계속 올라가기 때문에 110도가 넘어가면 프린트가 강제로 종료된다.) 온도가 100도 이하인지, 계속 올라가지 않는지 확인한다.
18. 가끔 씩 프린트가 정상적으로 진행 중인지 시각적으로 확인한다.
18-1. 프린트를 일시정지하려면, pause를 눌러 준다.
18-2. 프린트를 정지하려면, pause를 누른 후에 reset을 눌러준다.
19. 프린트 정지후, 프린트런을 완전히 종료 할 때에는 온도 heat와 bed의 off를 각각 클릭해 주고, 이어서 disconnect를 눌러준 후에, File에서 Exit를 클릭한다!!
20. 프로그램을 종료 한 후에는 3D프린터의 전원을 꺼도 좋다. (이상입니다)
Made by SGLee at SKKU